메모리
메모리: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,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
1칸, 1칸에는 주소가 있다.
-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.
- 메모리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.
-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.
CPU
CPU: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음 -> 해석 -> 실행 하는 장치
- ALU: 계산기
- 레지스터: CPU 내부의 작은 저장장치
- 제어장치: 제어 신호를 내보내고,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
- 제어신호: 컴퓨터 부품들을 관리하고,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
- cpu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읽고 싶을 때: 메모리를 향해서 메모리 읽기 라는 제어신호를 보낸다
- cpu가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고 싶을 때: 메모리를 향해서 메모리 쓰기 라는 제어신호를 보낸다
메모리를 cpu가 어떻게 실행할까요?
목표: 메모리에 있는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기
1. 명령어 1번지 실행
메모리는 1번지에 있는 내용을 cpu(레지스터)한테 돌려준다, cpu는 받은 명령어-> 해석(제어장치) -> 3,4번지 다시 메모리 읽기
2. 명령어 2번지 실행
cpu는 메모리에게 제어신호를 통해 -> 2번지 메모리 읽기 신호를 보낸다.
2번지에 있는 명령어가 cpu에 있는 register에 저장된다.
제어장치는 이를 해석하고 판단한다.
3. 메모리 쓰기 신호
제어장치는 메모리에게 메모리 쓰기 -> 메모리 5번지에 새롭게 220을 저장한다.
보조기억장치
보조기억장치: 전원이 꺼져도 보관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품
메모리: 전원이 꺼지면 날라간다. 실행할 정보를 저장한다.(명령어, 데이터)
RAM : 휘발성 저장 장치
입출력장치
메인보드
- 메인보드에 연결된 부품은 버스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음
- 버스는 컴퓨터의 부품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일종의 통로
- 다양한 종류의 버스가 있음
- 컴퓨터의 핵심 부품을 연결하는 버스는 시스템 버스
'학습 기록 (Learning Logs) > 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채팅 테스트 (0) | 2025.04.29 |
---|---|
로컬에서 채팅 테스트 (0) | 2025.04.23 |
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(0) | 2025.04.17 |
머신러닝에서 나오는 vector, bias 뭔데? (0) | 2025.04.17 |
GPT에서 웹툰을 그린다고?! (0) | 2025.04.17 |